한전 에너지캐쉬백 신청 방법 및 주택용 전기요금 할인 (1kWh 당 30원) 방법

한전에서 주택용 에너지 캐쉬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가구에 캐시백 형태로 할인을 하는 정책인데요, 여름철 전기요금 다들 걱정되시잖아요. 한전 에너지캐쉬백 신청 방법 및 주택용 전기요금 할인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배경

2022년부터 도입되어 시행된 내용인데요, 가정의 전기요금 부담을 완화함과 동시에 국가적으로 전력난을 해소하고자 하는 취지입니다.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제도로 꼭 신청해서 혜택을 받으면 좋겠습니다.

한전 에너지캐쉬백 신청 방법

주택용 에너지캐쉬백 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신청자와 주택의 주소가 일치해야 합니다. 즉 주민등록 주소지가 신청 주택의 주소와 일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방법은 온라인 신청 또는 방문 신청이 가능한데요, 한전 지사가 가까운 곳에 있지 않다면 온라인으로 신청하시는 것이 편할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한전 에너지캐쉬백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등을 남겨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전 에너지 캐쉬백 신청 사이트-바로가기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가장 먼저 회원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본인인증은 간편하게 휴대폰으로 하면 되겠습니다. 본인인증 후 아이디와 비번, 주소 등을 넣어 회원가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특이한 점은 회원가입 중에 주민등록 주소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가 있는데요, 주민등록번호를 넣고 거주지와 고객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주민등록 주소와 신청지가 일치되는지 확인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한전 주택용 에너지캐쉬백 신청 완료가 됩니다.

캐쉬백 산정 방법 및 지급 기준

총 3가지 수치를 구해서 비교하게 되는데요, 바로 절감량, 절감률, 참여자 평균 절감률 입니다.

  • 절감량 : 과거 2년 동안의 평균 사용량에서 이번기간 실제 사용량을 뺍니다.
  • 절감률 : 위 절감량을 %로 나타냅니다.
  • 참여자 평균 절감률 : 동일 지역 참여자의 평균 절감률입니다.

캐시백 지급받기 위해서는 최소 3%의 절감률을 달성해야 하며 동시에 참여자 평균 절감률보다 더 많은 절감률을 달성해야 지급이 됩니다. (1kWh당 30원이 캐시백, 절감률 한도는 최대 30%로 인정됩니다.)

기본적으로 위의 계산과 동일하지만 참여자 평균 절감률과 상관없이 5% 이상의 절감율을 달성했다면 캐쉬백이 지급되며 이에 더해서 절감률이 높을수록 더 많이 캐시백 됩니다.
자세한 계산 안내-바로가기

유의 사항

  • 한전 에너지캐쉬백은 해지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연장됩니다.
  • 이사 등으로 주소지가 변경된 경우는 해당 월의 캐시백이 제외됩니다.
  • 전입일자가 2년 미만이라면, 해당 주택의 과거 데이터를 기반하여 계산됩니다.
  • 캐시백은 전기요금청구서에서 일괄 차감되는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 탄소포인트제 등의 다른 기관에서의 에너지 절감 정책과 중복참여가 가능합니다.

관련 : 정속형 에어컨 절약방법(바로가기)

마치며

한전 에너지캐쉬백 신청 방법 과 지급 기준 등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무조건 신청해야 할 혜택인 것 같습니다. 전기를 더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부과되는 패널티같은 사항은 존재하지 않으며, 아껴쓰게 된다면 전기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한번 신청해두면 지속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편리한 만큼 늦지 않게 신청하면 좋겠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