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소화기 수거, 폐기 처리 방법 (무상으로?)

요즘에는 많은 분들이 가정집에서도 소화기를 보유하고 계시는데요, 이게 사실 한 번 사 놓고 끝이 아니죠. 주기적으로 점검도 해야 하고, 오래된 소화기는 폐기 처리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폐소화기 수거, 폐기처리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폐소화기 수거 방법

폐소화기 기준

요즘에는 소화기의 종류도 다양해졌죠. 그래서 사실 소화기를 구입하거나 안내되어 있는 표지를 보고 폐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말 소화기’는 3가지를 보시면 되는데요, 바로 압력, 그리고 보관 기간, 보관 상태 입니다.

  • 압력 : 지시압력계 바늘이 녹색 범위를 벗어난 경우
  • 보관 기간 : 제조 시점으로부터 10년이 지난 경우
  • 보관 상태 : 겉면 코팅이 벗겨지고 녹이 슬거나 파손된 경우, 안전핀이나 호스 등이 손상된 경우

이는 소화기를 점검하는 방법에서도 잘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점검 주기는 보통 월 1회 정도로 알려져 있고, 소화기를 점검하면서 분말이 굳지 않도록 한번 뒤집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소화기 점검방법
소화기 점검방법

폐소화기 수거 및 폐기 방법 (무상?)

많은 분들이 폐소화기 수거 방법을 몰라서 119에 전화하여 문의한다고 합니다. 사실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해서 간단하게 검색만 해 봐도 잘 나오죠.

폐소화기 폐기는 이제 관련 법이 만들어지면서 ‘대형폐기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가구를 배출하는 것과 같이 폐기물스티커를 부착하여 배출하면 됩니다. 행정복지센터에서도 구입이 가능하고 보통은 지정된 마트에서도 스티커 구입이 가능하니,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습니다. 지자체별로 소화기 약제 기준으로 3.3kg 초과는 스티커 금액이 올라갑니다.

다만 위 방법은 스티커를 구입하는 비용이 들기 때문에, 무상으로 진행하려고 하는 분들은 정부에서 지정한 수거업체를 이용해야 합니다. 현재는 ‘ESG사업소’ 라고 하는 업체에서 15개 이상부터 폐소화기 수거를 무상으로 진행하고 있는데요, 카카오톡 채널도 따로 운영되고 있으니 간편하게 예약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관공서, 학교 등의 시설이라면 소화기 15개 정도는 있기 때문에 무상으로 수거하는 것이 어렵지 않겠지만, 일반 가정집이라면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요, 수량 기준 15개 이상이면 되기 때문에 주변 이웃들과 함께 진행하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ESG 사업소 폐소화기 처리 소식

ESG 사업소 카톡채널

마치며

이상으로 폐소화기 수거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무상으로 진행하는 방법까지 정리해 봤습니다. 예기치 못한 사고에서 안전을 위한 소화기를 잘 관리하고 교체하여 두시는 것이 좋겠죠. 그리고 절대 무단으로 처리하시면 안된다는 점 알려드립니다. 분말가루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죠. 포스팅이 도움되셨길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