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나 시사 쪽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에 하나인 트리거. 문맥으로는 대략 어떤 의미인지 느낌을 받으실 수 있지만, 정확히 어떤 말인지 트리거 뜻과 함께 적절한 예시를 다양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뉴스에 자주 등장
트리거가 경제나 시사 용어로도 많이 사용되는데요, 보통 어떤 조건이 성립될 때 실행하는 것 또는 상황이 변하거나 결과가 나타나는 이야기에 자주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뉴스에서 나온 문구들을 아래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지표별 위험 수준에 대한 트리거를 설정하여 트리거 도달시 조치 사항을 사전 준비하여 대응하고 있다
- 이준석 “명태균’황금폰 야당에 제공’.. 계엄령 트리거 된 듯”
- 시장에 새로운 호재가 없지만 부정적 트리거 또한 소화했다
트리거 뜻
트리거(Trigger)를 직역하면 ‘방아쇠’입니다. 여기서 트리거 뜻이 어떤 의미일지 짐작할 수 있죠. 총의 방아쇠라는 것은 당기는 순간 총알이 발사되는데요, 그래서 이것을 비유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Turn-On의 의미인 스위치(Switch)를 켠다는 의미와도 비슷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레디(Ready) 상태에서 방아쇠(Trigger)를 당겨, 또는 당겨져 실행(Shoot)되는 의미죠. 그런데 그 레디 상태가 긴장을 하고있는, 방아쇠에 서서히 힘을 주고 있다는 것을 상상하시면 정확하게 트리거가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트리거의 뜻을 “어떤 행동이나 사건을 유발하는 조건이나 요소”로 축약할 수 있는데요, 이 말에는 특징이 있죠. 트리거의 조건이 되면 자동반사적으로 실행된다는 것, 그리고 한 번 발사된 총알을 돌이킬 수 없듯이 취소가 힘들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적절한 예시
우리가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이 단어는 사실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심리학, 마케팅 분야, 그리고 프로그래밍 용어로도 사용되는데요, 관련된 적절한 예시를 남겨드리겠습니다.
- 힘든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고, 주위의 도움도 청하지 않으면 우울증 발생 및 악화의 트리거가 된다.
- 자신과 같은 입장에서 남겨진 긍정적인 제품 사용 후기는 구매를 유발하는 확실한 트리거로 작용한다.
-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삭제하는 트리거 프로그램을 구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