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도 논란이 상당히 많이 되어 왔고, 가끔 뉴스 같은데서도 나오는 인종차별 단어인데요, 왜 이렇게 불리는지 칭챙총 뜻을 바로 알아봐야겠습니다. 이 단어가 어떤 의미가 담겨있고,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지 알려드릴게요.

어떻게 생겨난 말일까요?
이 말은 최초에 중국어를 들리는대로 표현한 말이라고 합니다. 동양권이 아닌 국가에서 중국어를 들으면 굉장히 생소하게 들리겠죠. 성조도 심하고, 따라하기도 힘들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최초에는 이게 어떤 비하의 의미가 아닌 “그대로 들리는” 중국어 발음에서 생겨났습니다. 그래서 영어로는 (Ching Chang Chong) 입니다.
왜 이 단어가 인종차별 단어일까?
사실 칭챙총 뜻으로 이 단어를 판단하면 안됩니다. 단순히 발음을 흉내낸 것이 최초라고는 하지만, 많은 중국인들이 서양권에서 올바르지 못한 행동을 하게 되면서 이 중국인을 비하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요, 이때부터는 ‘칭챙총’이 비하의 의미까지 내포하게 됩니다.
사실 중국인과 다른 동양인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리고 대부분의 동양인이 중국인이기 때문에, 중국인을 비하하는 것이 동양인을 비하하는 것과 동일시되었고, 결국에는 현재의 의미는 ‘동양 비하’가 되었습니다.
교육의 중요성
그런데요, 사실 서양권에서는 이 단어를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사회의 어떤 현상이든지 가해자는 피해자보다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교육기관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고 대부분의 서양인들에게 무분별하게 사용되어집니다.
그래서 인종차별에 해당하는 단어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우리가 영어를 포함한 외국어를 표현할 때, “샬라샬라” 이렇게 표현하죠. 그런데 여기에 우리는 서양인을 비하하는 의미는 담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칭챙총”이 서양인 입장에서 자신은 비하의 의미가 없다고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코미디나, 유튜브 등에서 가감없이 나오는 경우도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칭챙총이라는 단어가 발음을 표현하는 부분을 넘어서서 동양인을 비하하는 단어로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원래 말이라고 하는 것은 대다수의 사람이 그렇게 인식하면 그게 그 말의 뜻이 되는 것이죠. 동양인을 보면 눈을 찢는 행동을 하면서 “칭챙총”이라고 놀리는 나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이 사실을 반증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최초에는 별 의미가 없었지만 지금은 인종차별의 의미를 강하게 담고 있는 단어인 칭챙총 뜻과 함께 역사적 배경을 빠르게 설명드렸습니다. 어떤 경우든 간에 별다른 이유 없이 서로를 비하하는 일이 바람직하진 않죠. 만약 주변에 이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모른다거나, 그냥 재미삼아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부분에 대해 잘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